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이낙연 전 대표의 ‘전과자’ 발언과 사과, 민주당 안팎에서의 반응은?

반응형

이낙연 전 대표가 민주당 국회의원의 44%가 전과자라고 발언한 것에 대해 사과했습니다. 그러나 민주당 내외에서는 이 전 대표의 발언을 비난하고 있습니다. 이낙연 전 대표의 전과에 대해서도 알아보겠습니다.

전과자

이낙연 전 대표의 ‘전과자’ 발언과 사과

이낙연 전 대표는 8일 UBC 울산방송 인터뷰에서 민주당의 현 상황에 대해 "도덕성과 다양성을 잃어버렸다"며 "민주당 국회의원 167명 중에서 68명이면 44% 정도인데, 44%가 전과자"라고 말했습니다.

 

그는 또 "민주당이 다양한 어려움을 겪었지만 (다양성을 보장하는) 당내 민주주의라는 면역 체계가 작동했기 때문에 어려움을 극복하고 새 길을 찾아왔는데, 지금은 그게 고장 나 있는 상태이고, 굉장히 심각한 병적 상태"라고 했습니다.

이 전 대표는 9일 페이스북을 통해 "저는 민주당 국회의원 44%가 전과자라고 발언한 바 있다. 한 시민단체의 통계를 인용한 발언이었다"라고 했습니다.

 

이 전 대표는 "그러나 계산해 보면, 44%가 아니라 41%가 맞는다. 무엇보다도 그 숫자에는 민주화 운동과 노동운동 과정에서 실정법을 위반한 경우도 꽤 많이 포함된다"라고 했습니다.

 

이 전 대표는 "제가 그 사실을 고려하지 않은 것은 큰 실책이었다. 저는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민주화 영웅들의 희생을 높이 평가한다"며 "그 발언을 정중히 사과드린다"고 했습니다.

반응형

민주당 안팎에서의 비난

이 전 대표의 ‘전과자’ 발언에 대해 민주당 안팎에서는 비난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. 정성호 민주당 의원은 9일 CBS라디오 '김현정의 뉴스쇼’에서 "노동운동과 민주화 운동하신 분들을 제외하면 제가 알기로는 16% 정도 되는 걸로 알고 있다"며 "노동·민주화 운동을 제외한 일반 범죄로 입건된 경우는 민주당보다 국민의힘이 더 많다"라고 주장했습니다.

 

정 의원은 또 "이낙연 전 대표가 민주당을 탈당한 이유가 이재명 대표가 싫다는 것, ‘반명’ 외에 뭐가 있는지 좀 묻고 싶다"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

정청래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'민주화·노동운동 전과자를 제외한 전체 국회의원 전과자 비율은 민주당 16.4%, 국민의힘 19%'라는 언론 보도를 공유하면서 "이낙연, 씁쓸하다"며 "임께서는 남들 민주화운동 할 때 어디서 무엇을 했냐"라고 썼습니다.

 

민주당을 탈당한 김남국 의원은 페이스북에 쓴 <위선의 가면을 벗어 던진 ‘전과 2범’ 이낙연>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이 전 대표를 향해 "정말 추하다 못해 찌질한 정치인"이라며 "그동안 언론에서 잘 포장해 줘서 일반 국민은 젠틀하고 온화한 성품으로 알고 있지만, 원래부터 오만함과 특권의식에 절어 꼬이고 삐뚤어진 성품의 사람"이라고 했습니다.

이낙연 전 대표의 전과

이낙연 전 대표는 자신도 전과 2범이라는 사실을 인정했습니다. 이 전 대표는 1987년 6월 10일 민주화 운동에 참여하다가 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 위반으로 구속되었습니다. 이 전 대표는 당시 서울대학교 의과대학 재학생이었으며, 6월 10일 민주화 운동은 서울대학교 학생들이 주도한 대규모 시위였습니다. 이 전 대표는 1988년 1월 29일 징역 1년에 집행유예 2년을 선고받았습니다.

이 전 대표는 1990년 9월 12일 노동운동에 참여하다가 노동조합법 위반으로 구속되었습니다. 이 전 대표는 당시 서울대학교병원 의사로 재직하고 있었으며, 의료노조를 결성하고 파업을 주도한 혐의를 받았습니다. 이 전 대표는 1991년 2월 15일 징역 1년에 집행유예 2년을 선고받았습니다.

마무리

이낙연 전 대표는 민주당 국회의원의 44%가 전과자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 사과했지만, 민주당 내외에서는 이 전 대표의 발언을 비난하고 있습니다. 이 전 대표는 민주화 운동과 노동운동에 참여하면서 전과 2범이 되었으며, 이를 인정하고 있습니다. 이 전 대표는 11일 국회에서 민주당 탈당 및 신당 창당을 선언할 예정입니다.

반응형